회사 노트북으로 개발을 공부하고 있었는데...
퇴사를 하게 돼서 집에 다시 세팅을 해야 했습니다.
이사해서 집 구조상 무선 랜카드로 와이파이를 잡았는데 기존의 이용하던 우분투는 랜카드로 와이파이 잡지 못해서
다시 윈도우로 세팅을 시작했습니다.
Git
git-scm.com
우선 Window 환경에선 기본 터미널이 PowerShell로 정해져 있고
개발 환경에 맞는 Node 명령어와 Git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선 Git Bash를 설치하고 이 터미널을 사용해야 합니다.
전부 기본 옵션으로 설치하고 터미널을 다시 키면 다음과 같이 Git Bash 터미널이 생깁니다.
하지만 위와 같이 기본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매 번 터미널을 열 때마다
Git Bash 터미널을 선택해야 해서 기본값으로 설정해 줍니다.
다음과 같이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하고
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"code --wait"
`Ctrl + Shift + P`를 입력하고 팔레트를 열어 Open User Settings에 들어갑니다.
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settings.json이 열리고 이 파일에 다음과 같이 넣어주면 됩니다.
{
"terminal.integrated.defaultProfile.windows": "Git Bash",
"editor.codeActionsOnSave": {
"source.fixAll": true,
},
"eslint.format.enable": true,
"editor.formatOnSave": true,
}
그럼 이제 Git Bash 터미널이 기본값이 됩니다!
'REACT-NAT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액트 네이티브 06 - 라우터 설정 (0) | 2023.11.10 |
---|---|
리액트 네이티브 05 - Redux 적용 (5) | 2023.11.03 |
리액트 네이티브 04 - svg 사용하기 (4) | 2023.10.22 |
리액트 네이티브 03 - Todo App 구조 잡기 (5) | 2023.10.15 |
리액트 네이티브 02 - Expo 세팅 (8) | 2023.10.08 |